teaming(4)
-
Windows 2012 R2 티밍가이드
1. 윈도우 서버를 부팅 후 서버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보통 부팅 후 자동 실행됩니다.) 2. 서버 관리자 > 로컬 서버 > 속성 > NIC 팀 사용 안 함을 클릭합니다. 3. 어댑터 및 인터페이스 에서 티밍으로 묶을 포트를 정합니다. 4.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새 팀에 추가 를 클릭합니다. 5. 팀 이름 에 팀명을 적고 추가속성을 클릭합니다. 6. 팀 구성 모드, 부하 분산 모드, 대기 어댑터, 주 팀 인터페이스를 설정 후 확인을 누릅니다. (기본적으로 default값을 많이 사용합니다.) 정적 팀 구성(Static Teaming) : 티밍을 구성할 네트워크에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을 때 사용합니다. 수동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독립 전환(Switch Independent) : 스위치가 없이 독자적..
2019.04.11 -
리눅스 (CentOS 7, RHEL 7) 티밍 가이드
RHEL 7 버전 이전은 네트워크 포트를 묶어 사용할 때 bonding을 사용했다. 그러나 RHEL7부터 nmcli를 통해 NIC Teamin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만약 nmcli가 실행 되지 않다면 설치를 해야 합니다. 예시) yum -y install net-tools : netstat, arp, route yum -y install NetworkManager-tui : nm붙은것들 설치 후 서비스 시작은 systemctl start NetworkManager 명령어로 실행합니다. 2. 설치 후 티밍으로 묶을 포트를 nmcli device status 명령어로 확인합니다. 3. 부팅 후 cd /etc/sysconfig/network-script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동합니다. 4. ll 명령어..
2019.04.10 -
Ubuntu (우분투) 본딩 가이드
1. apt-get install ifenslave 명령어를 쳐서 ifenslave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2. 우분투의 경우 네트워크를 셋팅할려면 /etc/network 폴더의 interface파일을 열어서 설정한다 3. 밑과 같이 네트워크 카드에 맞게 다 잡혀있는 경우도 있고 직접 잡아줘야 하는 경우도 있다 (네트워크 카드가 4개인데 1개밖에 없어서 ens34 ~ 35는 직접 잡아준 것) *네트워크 설정을 static으로 할경우 (예시 ens36) auto ens36 iface ens36 inet static address 192.168.10.120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10.1 dns-nameservers 8.8.8.8 192.168.63.1 이렇게 작성..
2019.04.10 -
CentOS (센트오에스) 리눅스 본딩 가이드
1. 부팅 후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동합니다. 2. ll 명령어를 입력하여 본딩으로 묶을 네트워크 포트를 확인합니다. (네트워크 포트는 ifcfg- 로 시작하며 ifcfg-lo는 루프백 인터페이스 이므로 제외합니다.) 3. 인터페이스를 정했으면 vi ifcfg-bond0 명령어로 본딩 파일을 만듭니다. (기본적으로 ifcfg-bond0 파일로 시작하며 ifcfg-bond1 ,2 ,3 로 설정하면 됩니다.) 4. 파일이 만들어지면 i를 눌러 입력하며 밑의 설정을 입력합니다. DEVICE=bond1 ---디바이스명 NAME=bond1 ---디바이스명 TYPE=Bond ---타입설정 ONBOOT=yes ---부팅 시 자동 실행 설정 BOOTPROTO=..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