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의 노트

낙타의 노트

  • 분류 전체보기 (110)
    • JAVA (27)
    • DateBase (15)
    • 리눅스 (12)
    • 윈도우 (2)
    • 네트워크 (1)
    • HTML (3)
    • 웹(JSP) (11)
    • CSS (2)
    • Java script (7)
    • jQuery (8)
    • Spring (12)
    • util (4)
    • aws (1)
  • 홈
  • 태그
  • 방명록
  • 자바 공부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낙타의 노트

컨텐츠 검색

태그

omsa 티밍 리눅스 Windows2012r2 ubuntu Dell bonding centos InputStream set logstash 우분투 본딩 java outputstream Windows2012 ELK 보조 스트림 select teaming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Windows 2012 R2 AD(Active Directory) 구성 가이드

1. 서버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2. 로컬서버 > 속성의 컴퓨터 이름 을 클릭합니다. 3. 변경을 클릭합니다. 4. 컴퓨터 이름을 입력합니다. 5. 윈도우키 + R 키를 눌러 실행창이 실행되면 ncpa.cpl을 입력합니다. 6. 설정할 네트워크를 선택 후, 속성 > Internet Protocol Version4 (TCP/IPv4) 에서 AD에 쓰일 IP를 입력 후 DNS도 자기 IP를 입력합니다. 7. 서버 관리자 로 들어가서 역할 및 기능 추가를 클릭합니다. 8.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가 나오면 다음>다음>다음> 서버 역할에서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를 체크합니다. 9. 창이 새로 나오면 기능 추가를 클릭 후 다음>다음>설치를 클릭합니다. 10. 설치가 다되면 닫기를 클릭하고 ..

2019. 4. 11. 14:05
Windows 2012 R2 티밍가이드

1. 윈도우 서버를 부팅 후 서버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보통 부팅 후 자동 실행됩니다.) 2. 서버 관리자 > 로컬 서버 > 속성 > NIC 팀 사용 안 함을 클릭합니다. 3. 어댑터 및 인터페이스 에서 티밍으로 묶을 포트를 정합니다. 4.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새 팀에 추가 를 클릭합니다. 5. 팀 이름 에 팀명을 적고 추가속성을 클릭합니다. 6. 팀 구성 모드, 부하 분산 모드, 대기 어댑터, 주 팀 인터페이스를 설정 후 확인을 누릅니다. (기본적으로 default값을 많이 사용합니다.) 정적 팀 구성(Static Teaming) : 티밍을 구성할 네트워크에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을 때 사용합니다. 수동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독립 전환(Switch Independent) : 스위치가 없이 독자적..

2019. 4. 11. 13:58
리눅스 ulimit 명령어 사용법

ulimit : 커널단에서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한도 설정에 관련 된 명령어이다. -- ulimit 사용 방법 ulimit [option] value * 옵션 설명 * -a : 모든 제한 사항을 보여준다. -c : 최대 코어 파일 사이즈 -d : 프로세스 데이터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 -f : shell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파일의 최대 크기 -s : 최대 스택 크기 -p : 파이프 크기 -n : 오픈 파일의 최대수 -u : 프로세스 최대수 -v : 최대 가상메모리의 량 -- 소프트웨어 한도 조회 ulimit -Sa core file size (blocks, -c) 0 è 코어파일의 최대크기 data seg size (kbytes, -d) unlimited è 프로세스의 데이타 세그먼트 최대크기 f..

2019. 4. 11. 13:51
Yum local repository CentOS(센트오에스) 로컬 레포지토리

1. cd를 넣습니다. 2. 마운트 할 폴더를 만듭니다. (완전한 로컬 레포지토리 앞으로도 CD없이 설치할 경우) # mkdir /mnt/cdrom ---- mnt폴더에 cdrom란 폴더를 iodd 마운트 용도로 만든다. # mkdir -p /cdrom/pack ---- 마운트한 폴더에서 Packages 폴더의 Packge들을 # mount /dev/sr1 /mnt/cdrom ---- iodd와 /mnt/cdrom를 마운트 한다 /dev/sr1 - IODD이다. CD라면 dev/cdrom 이다. # cp /mnt/cdrom/Packages/* . /cdrom/pack ---- 패키지들을 복사해온다. # cd /cdrom/pack ---- rpm으로 패키지를 설치하기위해 pack 폴더로온다 - 바로 4번 ..

2019. 4. 11. 12:03
리눅스 LVM 만들기 (우분투)Ubuntu

1. fdisk -l 을 이용하여 만들 디스크를 찾습니다. 2. lvm을 만들 디스크를 찾았다면 fdisk /dev/sda1 을 입력해 선택 후 command에 m을 입력합니다. (/dev/sda1에 만들 예정입니다.) *command 메뉴들 3. 메뉴를 확인하면 n을 눌러 파티션을 새로 만듭니다. p : 정규 파티션 총 4개까지밖에 만들 수 없다. e: 확장 파티션 정규를 4개까지밖에 만들 수 없어 나옴, 무제한으로 가능 4. 우선 파티션이 없기때문에 p로 만듭니다. (기본값이 p) 5. 파티션 넘버를 정합니다. 1~4까지 가능합니다. (기본값이 1) 6. 파티션 시작부분을 정합니다. 기본값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7. 파티션 끝부분을 정합니다. 여기서는 계산을 하여 만듭니다. (5GB를 만들 것이기 ..

2019. 4. 11. 11:52
VO, DAO, Service 패턴, Persentation Layer

----------------------------------VO / DAO, DAO, Service----------------------------- VO / DAO 패턴 VO(Value Object) - 데이터베이스의 한 레코드를 담는 객체 - 필드, 생성자, Getter/Setter 메소드 구성 - 레코드(행)의 갯수만큼 생성해서 사용한다. - (필드 클래스) * VO객체, Domain객체, DTO객체, 자바빈즈 라고 부른다. DAO(Database Access Object) - Database Access 작업을 담당하는 객체 - 추가(Insert) / 삭제(Delete) / 변경(Update) / 조회(Select) 작업과 관련된 메소드들 구성 * CRUD 기능을 구현한다. * Create, ..

2019. 4. 11. 10:57
1 ··· 9 10 11 12 13 14 15 ··· 19
낙타의 노트 git url
문제가 있을경우 rio311@naver.com 으로 메일주세요.

티스토리툴바